본문 바로가기

인천 1000번 광역 버스 외 10개 버스 노선 변경 총정리

📑 목차

    서울 도심과 서북권을 연결해 온 서소문고가차도2025년 8월 17일 0시부터 단계적 철거에 들어갑니다. 이에 따라 인천발 광역버스 11개 노선이 도심 진입을 멈추고 홍대입구역·신촌역·당산역에서 회차하는 단축 운행이 적용됩니다. 공사 일정과 노선별 변동, 환승 팁, 자주 묻는 질문까지 최신 공지를 바탕으로 한 글로 정리했습니다.

    인천 관역 버스 노선 변경



     

    왜 바뀌나: 철거 배경 한눈에

    서소문고가차도는 1966년 준공된 335m 길이의 고가도로로, 2019년 낙하물 사고 이후 정밀안전진단에서 ‘안전등급 D(사용 제한·긴급 보수 필요)’ 판정을 받아 철거가 결정되었습니다. 시민 불편과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차로를 단계적으로 축소하는 방식으로 공사가 진행되며, 도심 진입 광역버스는 혼잡 구간 이전에서 회차하도록 운영 방식을 바꿉니다. 서울시는 8월 17일부터 단계적으로 차로를 닫고, 9월 21일에는 전면 통제 후 본격 철거를 진행, 약 10개월 후인 2026년 5월 완공을 목표로 합니다.

     

     

    기존 노선20250817 이후 버스 노선
    왼쪽이 기존 노선 오른쪽이 변경 된 노선

    변경 노선 요약표(인천 11개 노선)

    인천에서 출발해 서울 도심으로 들어오던 광역버스 11개 노선은 다음과 같이 회차 지점이 바뀝니다(8/17 시행). 표에서 보듯 도심 구간(홍대입구—서울역)은 일시적으로 단축·미운행되며, 회차 지점에서 지하철·타 버스로 환승하는 방식이 기본입니다. 

    그룹 노선 새 회차 지점 비고
    인천 A 1000, 1100, 1101, 1200, 1400, 1500, 1601 홍대입구역 회차 도심 구간 단축(홍대입구—서울역 미운행)
    인천 B M6724 신촌역 회차 상동·검암축 이용 승객 환승 권장
    인천 C 1300, 1301, 1302 당산역 회차 한강 하류축 접근 시 2·9호선 환승 유리

    ※ 위 조정은 서울시 공식 안내에 따른 8/17 0시 시행 내용입니다. 도심 교통상황에 따라 추가 우회·조기 전환이 있을 수 있으니 당일 공지를 확인하세요.

     

    1000번1100번1101번

    철거·통제 일정표(8/17 → 9/21 → 내년 5월)

    공사는 ‘혼잡 완화’에 초점을 맞춰 순차 통제 → 전면 통제 → 철거로 이어집니다. 특히 9월 21일 전면 통제 이후에는 우회·환승 수요가 크게 늘 전망이므로, 평소보다 넉넉한 이동 시간을 권장합니다. 

    시기 조치 주요 영향 근거
    8/17 0시~ 시청→충정로 1개 차로 폐쇄, 광역 20개 노선 우회/단축 인천 11개 노선 회차(홍대/신촌/당산) 서울시·TBS 보도
    8/24 0시~ 충정로→시청 방향 추가 차로 폐쇄 도심 통행 속도 저하 언론 공지
    9/21 0시~ 고가 전면 통제 후 본격 철거 우회교통 확대 서울시·언론
    ~ 2026년 5월 철거 완료(목표) 이후 재시공 착수 영문 보도·시자료

     



    회차 지점별 환승 가이드(홍대·신촌·당산)

    핵심 요약
    회차 지점에서 지하철 2호선(+9호선·공항철도 등)으로 빠르게 환승하면 도심 접근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혼잡 시간대에는 플랫폼 대기열, 환승 동선까지 고려해 10~20분을 추가로 잡으세요.
    • 홍대입구역 회차(1000·1100·1101·1200·1400·1500·1601): 2호선·공항철도·경의중앙선 환승. 광화문·시청권은 2호선(시청/을지로), 종로축은 경의중앙선+종로 환승이 유리.
    • 신촌역 회차(M6724): 2호선 환승으로 시청·을지로 접근. 이대·아현·충정로 방향은 2호선·버스 환승 병행.
    • 당산역 회차(1300·1301·1302): 2·9호선 환승. 여의도·마포·광화문 방면은 9→5·광화문 연계 또는 2호선 환승 활용.

     

    1400번1500번

    출퇴근 영향과 소요시간 체감

    초기 2~3주간은 우회 동선 적응과 환승 병목으로 상행(서울행) 혼잡이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특히 9/21 전면 통제 이후엔 도심 진입 차량이 급감하므로, 출근 시간 10~20분, 퇴근 시간 5~15분 추가 여유를 권합니다. 서울시는 ‘민간차량의 서소문로 회피’와 대중교통 환승을 당부했고, 시내버스 일부도 주변 도로로 순차 우회합니다. 토·일·공휴일에는 도심 정체가 다소 완화되지만 행사·집회 시 변동성이 큽니다.



    운전자 유의: 우회로·혼잡 시간대

    • 회피 권장: 서소문로 축(시청↔충정로)을 피하고, 통일로·사직로·새문안로 등 대체축을 활용. 네비 교통 예측 반영까지 5~10분 시차 발생 가능.
    • 혼잡 시간대: 평일 07:20~09:00, 17:30~19:30. 전면 통제 이후엔 오전 피크가 특히 큼.
    • 주차·승하차: 도심 내 정차 단속 강화 구간 확인. 공사 펜스 설치로 가로폭이 줄어 보행·자전거 주의.



    FAQ 5가지

    Q1. 인천 11개 노선이 왜 서울역으로 더 안 들어가나요?
    A. 서소문고가 구간 전면 통제·철거로 인해 도심 접근 시 혼잡이 급증하고 안전 관리가 어려워, 홍대입구·신촌·당산에서 회차하게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서울시의 단계적 통제·우회 계획에 따른 조치입니다. 

    Q2. 공사는 언제 끝나나요?
    A. 2025년 9/21 전면 통제 이후 본격 철거에 착수하여 약 10개월 공사를 진행, 2026년 5월 완료를 목표로 합니다(변동 가능).

    Q3. 서울 시내버스도 바뀌나요?
    A. 시내버스 23개 노선은 인근 도로 우회가 순차 적용됩니다. 상황에 따라 조기 우회 가능성이 있어 당일 공지를 확인하세요. 

    Q4. 회차 지점에서 어떤 노선으로 환승하나요?
    A. 홍대입구는 2호선·공항철도·경의중앙선, 신촌은 2호선, 당산은 2·9호선 환승이 기본입니다. 도심(시청·광화문) 접근은 2호선 또는 9→5호선 연계를 추천합니다.

    Q5. 실시간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A. 서울시 내 손안에 서울·안전총괄실 공지 및 각 지자체·운수사 공지, 지도·교통 앱의 우회 경로 업데이트를 함께 확인하세요. 



    마무리

    결론적으로, 서소문고가차도 철거는 단순한 불편이 아니라, 시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입니다. 이번 인천 광역버스 단축 운행으로 인해 다소 혼잡과 환승 번거로움이 뒤따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서울 도심 교통 환경이 개선되는 토대가 될 것입니다. 특히 서울역 행 광역버스를 이용해 오던 분들은 반드시 변경된 종착지를 확인하고, 지하철이나 시내버스 환승 등 대체 교통수단을 적극 활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시민 모두의 협조와 적응이 모여 서울 교통이 한 단계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